본문 바로가기
자기계발

하루 24시간을 설계하는 시간 관리법

by 브릿지코치 2025. 3. 30.
728x90
반응형

 

누구에게나 똑같이 주어지는 하루 24시간. 하지만 어떤 사람은 그 시간을 활용해 목표를 달성하고, 어떤 사람은 늘 시간에 쫓기며 하루를 마칩니다. 차이는 단 하나, 시간을 ‘설계’하느냐의 여부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하루 24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시간 관리법을 구체적으로 소개합니다.

 

1. 하루를 블록으로 나눠보자

 

효율적인 시간 관리는 단순한 일정표 작성을 넘어, 시간을 '덩어리(블록)'로 관리하는 전략에서 시작됩니다. 예를 들어,

오전 6~9시: 아침 루틴

오전 9~12시: 집중 업무

오후 1~3시: 미팅/협업

오후 4~6시: 개인 프로젝트

이처럼 행동 단위별로 시간을 구획하면,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고 몰입할 수 있습니다.

 

2. 가장 중요한 일을 오전에 배치하자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하루 중 가장 집중력이 높은 시간은 기상 후 2~4시간 사이입니다. 이 시간대에 가장 중요한 업무나 공부를 배치하면 결과가 크게 달라집니다. 이를 **"골든 타임 전략"**이라 부릅니다.

 

3. To-Do 리스트보다 타임 테이블을!

 

많은 사람이 해야 할 일만 나열하고 끝냅니다. 그러나 ‘언제 할지’를 정하지 않으면 실제로 하지 않게 됩니다. 그래서 추천하는 것은 '시간표 기반의 계획(Time-Blocking)'입니다. 단순히 “운동하기”가 아니라, “저녁 7~8시, 30분간 요가”처럼 시간과 행동을 함께 정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4. 디지털 디톡스 시간을 설정하자

 

스마트폰 알림과 SNS는 우리의 시간을 조금씩 갉아먹습니다. 하루 중 1~2시간은 디지털 기기 없이 지내는 ‘집중 존’을 확보하세요. 이때 생산성은 놀랍게 상승하고, 뇌의 피로도는 줄어듭니다.

 

5. 하루 루틴으로 뇌를 자동화하자

 

습관화된 루틴은 의사결정을 줄이고 뇌의 에너지를 절약해줍니다. 매일 같은 시간에 일어나고, 정해진 시간에 운동하거나 독서를 하는 것만으로도 시간 관리의 절반은 자동화됩니다.


시간을 관리하면 인생이 달라진다

시간을 통제하지 않으면, 시간에 끌려다니는 삶을 살게 됩니다. 반면, 하루를 설계하는 사람은 목표를 현실로 바꾸는 힘을 갖게 됩니다.

오늘부터 하루를 계획하고, 루틴을 만들고, 집중 블록을 실천해보세요.

24시간은 누구에게나 같지만, 그 결과는 전혀 다를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